기계설비유지관리자 취업 준비하기! 자격증 종류, 초급 자격 취득법 (+채용정보 연봉 높은순)
아파트에는 관리소장, 경비원, 청소 담당 직원 등 다양한 역할을 맡은 분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아파트와 건물 내 기계설비를 점검하고 유지·보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재는 자격증 없이도 기계설비 유지·보수 업무를 할 수 있지만, 2026년 4월부터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자격을 갖춘 사람만 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법이 바뀝니다. 즉, 2026년 이후에는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들에게 많은 일자리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의 취업 현실과 연봉, 자격증 종류, 경력 인정 기준, 초급 자격 취득 난이도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기계설비유지관리자를 우대하는 기업 정보도 제공하니, 동일한 업무라도 높은 연봉을 지급하는 기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참고하세요.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취업 현실 및 연봉
기계설비유지관리자 법적 의무화 (2026년 시행)
기계설비법 제19조 및 시행규칙 제8조에 따르면, 일정 규모 이상의 아파트와 공동주택에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를 반드시 선임해야 합니다.

2026년 4월부터는 이 자격을 갖춘 사람만 해당 업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관련 일자리가 급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연봉 수준
등급 | 예상 월급 | 예상 연봉 |
---|---|---|
초급 유지관리자 | 300만 원 | 3,600만 원 |
특급 유지관리자 | 400만 원 | 4,800만 원 |
✅ 일반적인 시설관리 업무보다 높은 급여 수준
✅ 일근직(오전 9시~오후 6시)으로 근무 가능
전기기사 자격증만큼 연봉이 높지는 않지만, 시설관리직 중에서는 비교적 좋은 조건을 갖춘 직업입니다.
직종 | 연봉 범위 | 관련 회사/기관명 |
---|---|---|
공공기관 설비 관리자 | 3,000만 원 – 5,000만 원 |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도로공사, 지방자치단체 시설관리 부서 |
건설사 설비 엔지니어 | 3,500만 원 – 6,000만 원 |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
플랜트 설비 관리자 | 4,000만 원 – 6,500만 원 | SK에코플랜트, GS건설, 포스코건설 |
호텔 및 리조트 설비 관리자 | 3,000만 원 – 5,500만 원 | 롯데호텔, 신라호텔, 한화리조트 |
병원 및 대형 건물 시설팀 | 3,000만 원 – 4,500만 원 |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코엑스 |
제조업 공장 설비 관리자 | 3,500만 원 – 5,500만 원 | LG화학,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
민간 시설 유지관리 업체 | 2,800만 원 – 4,200만 원 | 코오롱글로벌 FM사업부, 메가존시설관리 |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취업 방법
시설관리 공고를 찾는 주요 사이트
- 잡코리아
- 국내 최대 구인구직 사이트
- 검색어: “시설관리” 또는 “기계설비유지관리”
- 지역 설정 후 출퇴근 시간 고려 (권장: 1시간 이내 거리)
- 사람인
- 잡코리아와 유사하지만, 사람인에만 올라오는 공고가 있을 수 있음
- 시설관리직을 찾을 때 반드시 함께 검색해야 함
- 워크넷
- 중소규모 기업과 시설관리 업체 공고가 많음
- 검색어: “시설관리” 또는 “기계설비유지관리자”
- 정렬 순서를 “임금 높은 순”으로 설정해 연봉이 높은 기업부터 확인 가능
- 대한주택관리사협회 홈페이지
- 아파트 및 오피스텔 시설관리 관련 공고가 많음
- 경력자나 자격증 소지자를 우대하는 공고가 많음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자격을 취득한 후, 잡코리아와 워크넷에서 ‘기계설비유지관리’를 검색하면 월 350만 원 이상 지급하는 시설관리직 공고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자격증 및 경력 인정 기준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등급별 자격증과 경력 기준이 다릅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 등급별 인정 자격증
등급 | 인정되는 자격증 | 요구 경력 |
---|---|---|
기술사 | 건축기계설비, 기계, 건설기계, 공조냉동기계, 산업기계설비, 용접 기술사 | – |
기능장 | 배관, 에너지관리, 용접 기능장 | – |
기사 | 일반기계, 건축설비, 건설기계설비, 공조냉동기계, 설비보전, 용접, 에너지관리기사 | – |
산업기사 | 건축설비, 배관, 건설기계설비, 공조냉동기계, 용접,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3년 이상 |
건설기술인 | 공조냉동 및 설비, 용접 전문 분야 | 해당 분야 경력 필요 |
“산업기사(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를 취득하고 관련 분야에서 3년 이상 경력을 쌓으면 초급 자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초급 자격 취득 난이도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초급 자격을 취득하려면 어떤 방법이 가장 쉬울까요? 아래는 정년퇴직 후 자격증을 준비하는 50~60대 비전공자 기준으로 정리한 난이도 비교표입니다.
자격증 | 난이도 (1~7) | 필기시험 | 실기시험 |
---|---|---|---|
일반기계기사 | 7 | 역학 70문제 포함 | CAD 2D, 3D 작업형 (5시간) |
건축설비기사 | 6 | 과목 범위 넓음 (건축, 공조, 전기 포함) | 필답형 |
공조냉동기계기사 | 5 | 에너지관리 과목 포함 | 필답형 |
설비보전기사 | 4 | 역학 과목 없음 | 전기·유압 실기 (어려움) |
용접기사 | 3 | 재료역학 포함 | 피복아크·CO2 용접 작업형 |
건설기계설비기사 | 2 | 역학 3개 포함 | 필답형 (쉬운 편) |
에너지관리기사 | 1 | 열역학 포함 | 필답형 (비전공자도 도전 가능) |
쉽게 취득 가능한 자격증
- 에너지관리기사 – 필기가 비교적 쉽고 실기도 필답형으로 구성
- 건설기계설비기사 – 필기는 어렵지만 실기가 가장 쉬운 시험 중 하나
취득하기 어려운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 CAD 2D, 3D 작업형 포함 (비전공자는 독학 불가)
- 용접기사 – 실기에서 피복아크 및 CO2 용접 실습 필수 (전문 학원 필요)
“비전공자가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초급 자격을 취득하려면, 에너지관리기사 → 실무 경험 3년 코스를 추천합니다. 반면, 일반기계기사나 용접기사는 실기 난이도가 높아 비전공자가 도전하기 어렵습니다.”
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2026년 4월 이후 법 개정으로 인해 유망한 직업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는 자격증 없이도 취업이 가능하지만, 앞으로는 반드시 자격증이 있어야만 시설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시설관리직 중 비교적 높은 연봉 (초급 300만 원, 특급 400만 원)
✅ 정년이 길고, 일근직(9시~6시)으로 근무 가능
✅ 2026년 이후 관련 일자리 증가 예상
조기 준비하여 안정적인 시설관리직을 원하는 분들은 지금부터 자격증 취득을 계획하는 것이 유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