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현실 연봉 알아보기 – 하는일, 되는법, 자격증 (+고연봉 일자리 바로가기)
실내건축기능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실내장식디자이너로 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가정관리학과, 건축학과, 설비공학과, 건축학과, 실내디자인학과, 조형학과 출신들이 많이 진출하는 분야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내건축기능사 현실 연봉, 하는일, 되는법, 관련 자격증,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실내건축기능사를 우대하는 고연봉 일자리를 본문 바로가기를 통해 공유해드리니 좋아하시는 일을 하면서 경제적 안정감도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실내건축기능사 현실 연봉 및 관련 자격증
고용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실내건축기능사의 현실 연봉은 상위 25% 4529만원, 중위값 3867만원, 하위 25% 3500만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보통 실내장식디자이너가 되며 관련 자격증으로는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시각디자인기사, 실내건축산업기사, 실내건축기사, 실내건축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가 있습니다.
구분 | 주요 회사명 | 연봉(만원) | 비고 |
---|---|---|---|
대형 건설사 |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림산업 | 4,000~5,000 | 신입 기준, 현장 관리·시공 감독 |
중견/중소 건설사 | (주)대혜건축, (주)서우에스앤디, (주)우민디자인웍스 | 2,800~3,500 | 설계 지원, 현장 시공 |
인테리어 전문회사 | (주)지금디자인, (주)플러스스페이스, (주)디자인파크개발, 누리플랜 | 2,600~4,000 | 공간 설계, 시공 관리 |
가구/목공 전문업체 | (주)새턴바스, (주)넥스트라이프, (주)디자인잉어 | 2,500~3,200 | 가구 제작, 설치 |
전시/이벤트 디자인 | (주)지아이웍스, (주)씨티이안, (주)베러라이프디자인 | 2,800~3,500 | 전시 공간, 조형물 디자인 |
공공기관·지자체 | (예: LH공사, 지자체 건축과) | 3,500~4,662 | 경력/기술에 따라 상향 |
실내건축기능사 하는일
실내장식디자이너가 되면 건물 내부 공간을 아름답고 기능적으로 디자인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주택의 거실을 생각해보면, 가구 배치와 색상 선택부터 조명과 장식품의 선택까지를 고려하여 공간을 조화롭게 꾸미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상가나 호텔, 레스토랑 등 다양한 공공 시설의 인테리어 디자인도 담당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고객과의 상담을 통해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건물의 구조와 기능을 고려하여 공간을 최적화하며, 디자인 컨셉을 제시하고 시각적인 아름다움과 기능성을 결합하여 고객에게 만족스러운 실내 공간을 제공합니다.
실내건축기능사 되는법
실내장식디자이너가 되기 위해서는 실내디자인, 건축, 실무 경험이 중요합니다. 대학에서 관련 전공을 배우거나 해외에서 공부하는 경로도 가능하며, 포트폴리오와 경력이 채용 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일반적으로 인테리어 회사나 디자인 사무소에서 경험을 쌓아 시작하며, 나중에 독립하거나 관련 업체를 창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실내건축기능사 시험일정
실내건축기능사 2025년 시험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실내건축기능사 합격률
최근 5개년 실내건축기능사 합격률을 알려드립니다. 전반적으로 높은 합격률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필기시험은 2020년에 71.5%로 가장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으나, 이후에는 대체로 65%대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실기시험 역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대부분 68~71% 사이를 유지하며 높은 수준을 보여왔으며, 특히 2024년에는 77.4%로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합격률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실내건축기능사 시험이 다른 국가기술자격 시험에 비해 상대적으로 합격이 수월한 편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으며, 실기에서의 실전 역량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시사합니다. 전반적으로 응시자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도 높은 합격률을 유지하고 있어, 준비만 잘 되어 있다면 도전해볼 만한 자격증으로 보입니다.
실내건축기능사 향후 전망
향후 5년 동안 실내장식디자이너의 일자리 상황은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테리어 디자인업계는 건설 경기에 영향을 받아요. 그러나 오래된 아파트나 집을 개조하려는 요구가 있고, 집에서 생활하는 스타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개인 공간을 꾸미려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싱글족과 1인 가구가 증가하며 친환경적인 실내를 원하는 사람들도 늘어가고 있습니다. 생활 공간에서는 기능과 아름다움을 중요시하고, 스마트 공간과 같은 IT 기술을 활용한 인테리어 디자인 수요도 예상됩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일자리가 줄어들 것 같지만, 일부 분야에서는 새로운 수요가 나타나며 일자리를 보충할 것으로 보입니다.